제3군단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군단은 대한민국 육군의 군단으로, 한국 전쟁 중인 1950년 10월 창설되었다. 이형근 소장이 초대 군단장을 맡았으며, 현리 전투에서의 실패로 해체되었다가 1953년 재창설되었다. 현재는 제22보병사단, 제12보병사단, 제21보병사단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으며, 강원도 인제군 일대에 주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군단 - 제1군단 (대한민국)
제1군단은 한국 전쟁 중 창설되어 동해안 방어, 원산 점령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며, 현재 육군지상작전사령부 예하 부대로 편성되어 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군단 - 제2군단 (대한민국)
제2군단은 1950년 창설되어 한국전쟁 중 해체 후 재창설되었으며 현재 춘천에 사령부를 두고 중부 전선을 담당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군단이다. - 대한민국의 군단 - 제1군단 (대한민국)
제1군단은 한국 전쟁 중 창설되어 동해안 방어, 원산 점령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며, 현재 육군지상작전사령부 예하 부대로 편성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군단 - 수도군단
수도군단은 1954년 제6관구사령부를 모태로 1975년 군단으로 개편되어 서울 수도권 방위를 주요 임무로 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야전군급 부대이며, 국방개혁 계획에 따라 수도방위사령부와의 통폐합 논의 후 독립 체제를 유지하며 수도권 방위를 위한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육군지상작전사령부 예하 부대로 운영되고 있다. - 1951년 폐지 - 개성시 (대한민국)
개성시는 황해북도에 위치한 도시로, 1950년 6월 기준 동부, 서부, 남부, 북부 4개의 행정동으로 나뉘어 여러 법정동을 관할했다. - 1951년 폐지 - 대봉동
대봉동은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동으로, 1917년 봉덕동과 대명동의 일부가 대구부에 편입되면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한때 남구에 속했으나 현재는 중구에 속하며, 대구불교방송과 아파트 단지들이 위치해 있다.
제3군단 (대한민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종류 | 전술 지휘 부대 |
역할 | 강원특별자치도 지역 방위 |
규모 | 군단 |
명령 체계 | 지상작전사령부 |
본부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
별명 | 산악부대 (山嶽部隊) |
연혁 | |
창설 | 1950년 10월 16일 |
해체 | 1951년 5월 26일 |
재창설 | 1953년 5월 1일 ~ 현재 |
전투 및 훈련 | |
참전 | 6.25 전쟁 현리 전투 펀치볼 전투 매봉·한석산 전투 |
지휘관 | |
현재 군단장 | [[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Lieutenant General (OF-8).svg|30px]] 중장 서진하 (육사 49기) |
주요 지휘관 | 김재규 유재흥 |
역대 지휘관 | 중장 송요찬 소장 유재흥 |
2. 역사
한국 전쟁 중이던 1950년 10월 16일 서울특별시 중구 남산동에서 이형근 소장을 초대 군단장으로 하여 창설되었다. 창설 당시 예하 부대로는 제9사단과 제11사단이 있었다.[5]
그러나 1951년 5월 현리 전투에서 큰 패배를 겪고 지휘체계가 와해되면서, 당시 군단장이었던 유재흥 소장이 책임을 지고 해임되었으며[6][7], 같은 해 5월 26일 미 제8군 사령관 제임스 밴 플리트 대장의 명령에 따라 군단은 해체되었다.[6][7] 해체된 군단의 예하 부대들은 미 제8군으로 배속되었다.[6][7]
이후 한국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던 1953년 5월 1일, 강원도 인제군 관대리에서 강문봉 소장을 군단장으로 하여 재창설되었으며, 제20사단과 제22사단을 예하 부대로 두었다.[8] 같은 해 12월 15일에는 제1야전군 예하 부대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1972년 7월 27일에는 소양강댐 건설로 인해 주둔지인 관대리 지역이 수몰되면서 부대를 이전하였다. 2019년 11월 29일에는 군단 군악대가 창설되었다.[9]
2. 1. 창설과 한국전쟁
한국 전쟁 중이던 1950년 10월 16일, 서울특별시 중구 남산동에서 창설되었다. 초대 군단장은 이형근 소장이었으며, 창설 당시 예하 부대로 제9사단과 제11사단을 두었다.[5] 초기 임무는 부산 방어선 돌파 이후 북진 과정에서 적의 잔당을 소탕하는 것이었다.[2]
워커 장군은 유엔군의 38선 방어 강화를 계획했고, 이에 따라 제3군단은 가평과 춘천 북쪽의 38선 방어를 담당했다. 그러나 1950년 말부터 이어진 조선인민군 및 중국인민지원군의 공세와 게릴라 공격으로 인해 전선 유지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1951년 1월 1일까지 전면적인 후퇴를 하게 되었다. 제3군단이 방어하던 지역은 미 제10군단에게 인계되었다.
1951년 5월, 현리 전투에서 제3군단은 결정적인 위기를 맞았다. 5월 16일, 창촌으로 철수하던 중 예하의 제9사단이 중국인민지원군 2개 군단에게 오마치 고개를 점령당했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5월 17일, 군단은 현리에 집결하여 오마치 고개를 돌파하려 했으나, 조선인민군 제5군단, 제12군단, 제27군단의 공세에 밀려 퇴각 작전은 실패로 돌아갔다. 이 과정에서 군단은 지휘체계가 무너지고 전투 의지를 상실했으며, 군단장 유재흥 소장은 지휘권을 포기하고 항공기로 전장을 이탈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부대는 5월 22일 강원도 인제군 관대리까지 밀려났다. 이 전투의 결과와 지휘관의 무책임한 행동에 대해 미 제8군 사령관 제임스 밴 플리트 대장은 엄중한 책임을 물어 1951년 5월 26일부로 유재흥 소장을 해임하고 제3군단을 해체시켰다. 해체된 군단의 예하 부대였던 제3사단, 제5사단, 제9사단, 제11사단은 각각 미 제8군 직할 부대로 편입되었다.[6][7]
해체되었던 제3군단은 한국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던 1953년 5월 1일, 강원도 인제군 관대리에서 재창설되었다. 강문봉 소장이 군단장으로 임명되었고, 제20사단과 제22사단을 예하 부대로 편성했다.[8]
2. 2. 현리 전투와 군단 해체
한국 전쟁 중이던 1951년 5월, 제2차 춘계 공세 기간 동안 제3군단은 현리 전투에서 큰 위기를 맞았다. 5월 16일, 창촌으로 철수하던 예하 제9사단은 중국인민지원군 2개 군단이 이미 오마치 고개를 점령했다는 사실을 파악했다.[5] 다음 날인 5월 17일, 군단은 반격을 포기하고 현리에 집결하여 오마치 고개를 돌파하려 했으나, 조선인민군 제5군단, 제12군단, 제27군단[6] 및 중국인민지원군 3개 야전군[3]의 대규모 공세에 밀려 퇴각 작전은 실패로 돌아갔다.[6]이 과정에서 군단은 전투 의지와 지휘 통제를 상실하며 사실상 와해 상태에 빠졌다. 특히 군단장이었던 유재흥 소장은 지휘권을 포기하고 항공편으로 전장을 이탈하여 부대 와해를 더욱 심화시켰다는 비판을 받는다.[6] 병력들은 중장비를 대부분 포기한 채 팡대산(Pangdae Mountain)을 넘어 분산 후퇴했으며,[3] 5월 22일에는 강원도 인제군 관대리까지 밀려났다.[6]
결국 1951년 5월 26일, 미 제8군 사령관 제임스 밴 플리트 대장은 현리 전투 패배의 책임을 물어 유재흥 소장의 직위를 박탈하고 제3군단을 해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6][3] 해체된 군단의 예하 부대였던 제3사단, 제5사단, 제9사단, 제11사단은 각각 미 제8군 예하 부대로 배속되었다.[6][7]
2. 3. 재창설과 현재
1953년 5월 1일, 강문봉 소장을 군단장으로 임명하고 제20사단, 제22사단을 예속받아 강원도 인제군 관대리에서 재창설되었다.[8] 재창설 직후인 1953년 5월, 제3군단은 미 제10군단의 지휘하에 훈련을 받았다.[4] 같은 해 10월 미 제10군단이 철수하자, 제3군단은 북한강에서 펀치볼 (혈투의 언덕 전투)까지 이르는 동부 및 중부 전선 방어 임무를 인수하였다.[4] 1953년 12월 15일에는 제1야전군 예하 부대로 소속이 변경되었다.1972년 7월 27일 소양강댐 건설로 인해 주둔지인 관대리 지역이 수몰되면서 부대를 이전하였다.
2019년 11월 29일에는 군단 군악대가 창설되었다.[9]
3. 편제
대한민국 육군 제3군단은 예하에 여러 보병사단을 두고 있으며, 그 외에도 기갑여단, 공병여단, 포병여단, 군수지원여단, 경비여단 등 다양한 전투 및 전투지원 임무를 수행하는 여단급 부대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군단 사령부 직할 부대로는 정보통신, 경비, 특공, 항공, 화생방, 수송 등 군단 작전 수행에 필수적인 다양한 기능 부대가 있다.
3. 1. 구성 부대
구분 | 부대 명칭 | 비고 |
---|---|---|
정보통신단 | 제103정보통신단 | |
제731통신대대 | ||
제732통신대대 | ||
통신운용대대 | ||
경비부대 | 제303경비연대 | |
제703특공연대 | ||
특수임무대대 | 제703특수임무대대 | 사령부 직할대 |
정보대대 | 제143정보대대 | |
방공대대 | 제513방공대대 | |
항공단 | 제13항공단 | 3군단 직할 항공단 |
화생방대대 | 제13화생방지원대대 | |
수송대대 | 제603수송대대 | |
군악대 | 제3군단 군악대 | 2019년 11월 29일 창설[9] |
전차대대 | 제2전차대대 | 2020년 해체 |
3. 2. 예하 부대
'''직할 부대'''- 사령부 직할대
- 제703특수임무대대
- 제103정보통신단
- * 제731통신대대
- * 제732통신대대
- * 통신운용대대
- 제303경비연대
- 제13항공단
- 제13화생방지원대대
- 제143정보대대
- 제513방공대대
- 제603수송대대
- 제3군단 군악대 (2019년 11월 29일 창설)[9]
'''예하 부대'''
- 제1기계화보병사단
- 제12보병사단 (을지)
- 제21보병사단 (백두산)
- 제22보병사단 (율곡)
- 제23경비여단
- 제20기갑여단
- 제102기갑여단
- 제3공병여단
- 제3포병여단
- 제3군수지원여단
- 제703특공연대
- 제2전차대대 (2020년 해체)
3. 3. 지원 부대
- 제13항공단 (3군단 직할 항공단)
- 제13화생방대대
3. 4. 수송 부대
- 제603수송대대
4. 역대 지휘관
#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참고 |
---|---|---|---|---|
1 | 소장 이형근 | 1950년 10월 16일 | ||
2 | 소장 유재흥 | 1951년 5월 26일 | ||
3 | 소장 강문봉 | 1953년 5월 1일 | ||
? | 중장 김재규 | 육사 2기 | ||
중장 정승화 | 1973년 3월 | 1975년 9월 | 육사 5기 | |
중장 윤성민 | 1977년 | 1979년 11월 | 육사 9기 | |
중장 전성각 | 1979년 11월 | 1981년 6월 | 육사 8기 | |
중장 이상훈 | 1981년 6월 | 1983년 1월 | 육사 11기 | |
중장 한철수 | 1983년 1월 | 1985년 1월 | 육사 12기 | |
중장 신치구 | 1985년 1월 | 1987년 1월 | 갑종 22기 | |
중장 이진삼 | 1987년 1월 | 1988년 7월 | 육사 15기 | |
중장 박익순 | 1988년 7월 | 1990년 6월 | 육사 16기 | |
중장 편장원 | 1990년 6월 | 1992년 6월 | 육사 18기 | |
중장 김종배 | 1992년 6월 | 1993년 10월 | 육사 20기 | |
중장 이규환 | 1993년 10월 | 1995년 10월 | 육사 21기 | |
중장 김석재 | 1995년 10월 | 1997년 10월 | 육사 23기 | |
중장 박봉식 | 1997년 10월 | 1999년 11월 | 육사 24기 | |
중장 신일순 | 1999년 11월 | 2001년 11월 | 육사 26기 | |
중장 권영기 | 2001년 11월 | 2003년 10월 | 갑종 222기 | |
중장 박흥렬 | 2003년 10월 | 2005년 5월 | 육사 28기 | |
중장 최용주 | 2005년 5월 | 2007년 5월 | 3사 4기 | |
중장 김일생 | 2007년 5월 | 2009년 4월 | 3사 7기 | |
중장 이성호 | 2009년 4월 | 2010년 12월 | 육사 33기 | |
중장 이용광 | 2010년 12월 | 2012년 5월 | 학군 16기 | |
40 | 중장 한동주 | 2012년 5월 | 2013년 10월 | 3사14기 |
41 | 중장 나상웅 | 2013년 10월 | 2015년 10월 | 3사 16기 |
42 | 중장 김병주 | 2015년 10월 | 2017년 8월 | 육사 40기 |
43 | 중장 김승겸 | 2017년 9월 | 2019년 5월 | 육사 42기 |
44 | 중장 박상근 | 2019년 5월 | 2020년 12월 | 학군 25기 |
45 | 중장 전동진 | 2020년 12월 | 2021년 12월 | 육사 45기 |
46 | 중장 신희현 | 2021년 12월 | 2022년 5월 | 학군 27기 |
직무대리 | 소장 이진우 | 2022년 5월 | 2022년 6월 | 육사 48기 |
47 | 중장 김봉수 | 2022년 6월 | 2024년 4월 | 육사 47기 |
48 | 중장 서진하 | 2024년 4월 | 육사 49기 | |
참조
[1]
서적
From Pusan to Panmunjom
Brassey's
[2]
서적
The U.S. Army and the Korean War: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3]
서적
From Pusan to Panmunjom
Brassey's
[4]
서적
From Pusan to Panmunjom
Brassey's
[5]
웹인용
1954년 육군3군단 창설 1주년 기념식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11-11-03
[6]
뉴스
<6.25 60년..아! 그곳> 치욕의 패전 '현리전투'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11-03
[7]
웹인용
75. 국군 제3군단 최후의 날
https://web.archive.[...]
국방부 6.25 60주년 사업단 블로그
2011-11-03
[8]
웹인용
<90>강문봉 장군과 3군단 재창설
https://web.archive.[...]
국방일보
2011-11-03
[9]
뉴스
'승리를 노래하라' 육군 3군단 군악대 창설…군단급 두 번째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